기사 출처 | 기독신문(http://www.kidok.com)
제1강좌 생명의 지혜: 하나님을 아는 지식과 우리 자신을 아는 지식 (기독교 강요 1.1.1-1.5.15).
제2강좌 성경: 하나님의 자녀들의 특별한 학교 (기독교 강요 1.6.1-1.7.5).
제3강좌 말씀과 성령: 친히 말씀하시는 하나님의 말씀 (기독교강요 1.8.1-1.9.3).
제4강좌 삼위일체 하나님: 한 본질 안에 세 위격이 세 인격으로 계심 (기독교강요 1.10.1-1.13.29).
제5강좌 피조물: 하나님의 영광의 눈부신 극장 (기독교강요 1.14.1-22).
제6강좌 사람: 하나님의 형상대로 지어진 인격적 찬미의 도구 (기독교강요 1.15.1-8).
제7강좌 섭리: 영원히 현재(顯在)하는 하나님의 손 (기독교강요 1.16.1-1.18.4).
제8강좌 원죄: 죄책과 오염의 전가, 일반은총: 모든 사람에게 미치는 하나님의 은혜 (기독교강요 2.1.1-2.5.19).
제9강좌 율법: 경건하고 올바른 삶의 규범 (기독교강요 2.7.1-2.8.59).
제10강좌 복음, 신구약: 언약 가운데 약속하시고 이루심 (기독교강요 2.9.1-2.11.14).
제11강좌 그리스도의 중보의 필연성 : 성육신 (기독교강요 2.6.1-4;2.12.1-2.13.4).
제12강좌 위격적 연합을 통한 양성의 교통: 선지자, 왕, 제사장 (기독교강요 2.14.1-2.15.6).
제13강좌 그리스도의 구속자 직분: 비하(卑下)와 승귀(昇貴) (기독교강요 2.16.1-18).
제14강좌 그리스도의 대리적 무름: 사랑의 시작은 의(義) (기독교강요 2.16.19-2.17.6).
제15강좌 성령: 성도의 그리스도와 연합의 띠 (기독교 강요 3.1.1-3.1.4).
제16강좌 믿음:감화(persuasio)와 확신(fiducia) (기독교강요 3.2.1-3.2.43).
제17강좌 중생으로서의 회개:옛사람의 죽음과 새사람의 삶 (기독교강요 3.3.1-3.5.10).
제18강좌 그리스도인의 삶: 미래를 묵상하며 자기를 부인하고 십자가를 지고 주님을 좇는 삶 (기독교강요 3.6.1-3.10.6).
제19강좌 이신칭의(以信稱義): 죄사함과 그리스도의 의의 전가 (기독교강요 3.11.1-3.13.5).
제20강좌 성화: 중보자 예수 그리스도의 계속적 중보로 거룩해짐 (기독교강요 3.14.1-3.18.10).
제21강좌 그리스도인의 자유: 율법의 속박에서 벗어나서 기꺼이 하나님의 말씀에 순종하는 자유 (기독교강요 3.19.1-3.19.16).
제22강좌 기도: 믿음의 주요한 훈련 (기독교강요 3.20.1-3.20.52).
제23강좌 예정: 하나님의 기뻐하신 뜻에 따른 영원한 작정 (기독교강요 3.21.1-3.24.17).
제24강좌 최후의 부활: 죽을 것이 죽지 아니함을 입음 (기독교강요 3.25.1-3.25.12).
제25강좌 참 교회: 건전한 교리의 일치와 형제적 사랑으로 그리스도와 연합된 교회 (기독교강요 4.1.1-4.2.12).
제26강좌 교회의 직분: 머리이신 주님께로 자라감 (기독교강요 4.3.1-4.7.30).
제27강좌 교회의 권세: 교리권, 입법권, 사법권(권징) (기독교강요 4.8.1-4.13.21).
제28강좌 성례:보이지 않는 은혜의 보이는 표, 세례:그리스도와의 연합의 시작의 표 (기독교강요 4.14.1-26; 4.15.1-4.16.32).
제29강좌 성찬:그리스도와 연합한 성도로서 살아감의 표, 미사와 가톨릭 거짓 성례들:새로운 유대주의 (기독교강요 4.17.1-50; 4.18.1-4.19.37).
(5) WCC와 한국교회-죽산 박형룡과 해원 정규오 중심으로.
1. 장로교: 역사와 신학
2. 교단 역사 그리고 정체성
3. 개혁주의 장로교 말씀 주해
4. 개혁주의 장로교 교리
5. 개혁주의 장로교 교회정치
6. 개혁주의 설교
10. 개혁주의 윤리
(10) 하나님의 언약:영원한 작정의 역사적 성취 경륜
(11) 중보자 그리스도 : 참 하나님이시고 참 사람이심
기 고
문병호 교수의 기독신문 기고
제1강좌 생명의 지혜: 하나님을 아는 지식과 우리 자신을 아는 지식 (기독교 강요 1.1.1-1.5.15).
제2강좌 성경: 하나님의 자녀들의 특별한 학교 (기독교 강요 1.6.1-1.7.5).
제3강좌 말씀과 성령: 친히 말씀하시는 하나님의 말씀 (기독교강요 1.8.1-1.9.3).
제4강좌 삼위일체 하나님: 한 본질 안에 세 위격이 세 인격으로 계심 (기독교강요 1.10.1-1.13.29).
제5강좌 피조물: 하나님의 영광의 눈부신 극장 (기독교강요 1.14.1-22).
제6강좌 사람: 하나님의 형상대로 지어진 인격적 찬미의 도구 (기독교강요 1.15.1-8).
제7강좌 섭리: 영원히 현재(顯在)하는 하나님의 손 (기독교강요 1.16.1-1.18.4).
제8강좌 원죄: 죄책과 오염의 전가, 일반은총: 모든 사람에게 미치는 하나님의 은혜 (기독교강요 2.1.1-2.5.19).
제9강좌 율법: 경건하고 올바른 삶의 규범 (기독교강요 2.7.1-2.8.59).
제10강좌 복음, 신구약: 언약 가운데 약속하시고 이루심 (기독교강요 2.9.1-2.11.14).
제11강좌 그리스도의 중보의 필연성 : 성육신 (기독교강요 2.6.1-4;2.12.1-2.13.4).
제12강좌 위격적 연합을 통한 양성의 교통: 선지자, 왕, 제사장 (기독교강요 2.14.1-2.15.6).
제13강좌 그리스도의 구속자 직분: 비하(卑下)와 승귀(昇貴) (기독교강요 2.16.1-18).
제14강좌 그리스도의 대리적 무름: 사랑의 시작은 의(義) (기독교강요 2.16.19-2.17.6).
제15강좌 성령: 성도의 그리스도와 연합의 띠 (기독교 강요 3.1.1-3.1.4).
제16강좌 믿음:감화(persuasio)와 확신(fiducia) (기독교강요 3.2.1-3.2.43).
제17강좌 중생으로서의 회개:옛사람의 죽음과 새사람의 삶 (기독교강요 3.3.1-3.5.10).
제18강좌 그리스도인의 삶: 미래를 묵상하며 자기를 부인하고 십자가를 지고 주님을 좇는 삶 (기독교강요 3.6.1-3.10.6).
제19강좌 이신칭의(以信稱義): 죄사함과 그리스도의 의의 전가 (기독교강요 3.11.1-3.13.5).
제20강좌 성화: 중보자 예수 그리스도의 계속적 중보로 거룩해짐 (기독교강요 3.14.1-3.18.10).
제21강좌 그리스도인의 자유: 율법의 속박에서 벗어나서 기꺼이 하나님의 말씀에 순종하는 자유 (기독교강요 3.19.1-3.19.16).
제22강좌 기도: 믿음의 주요한 훈련 (기독교강요 3.20.1-3.20.52).
제23강좌 예정: 하나님의 기뻐하신 뜻에 따른 영원한 작정 (기독교강요 3.21.1-3.24.17).
제24강좌 최후의 부활: 죽을 것이 죽지 아니함을 입음 (기독교강요 3.25.1-3.25.12).
제25강좌 참 교회: 건전한 교리의 일치와 형제적 사랑으로 그리스도와 연합된 교회 (기독교강요 4.1.1-4.2.12).
제26강좌 교회의 직분: 머리이신 주님께로 자라감 (기독교강요 4.3.1-4.7.30).
제27강좌 교회의 권세: 교리권, 입법권, 사법권(권징) (기독교강요 4.8.1-4.13.21).
제28강좌 성례:보이지 않는 은혜의 보이는 표, 세례:그리스도와의 연합의 시작의 표 (기독교강요 4.14.1-26; 4.15.1-4.16.32).
제29강좌 성찬:그리스도와 연합한 성도로서 살아감의 표, 미사와 가톨릭 거짓 성례들:새로운 유대주의 (기독교강요 4.17.1-50; 4.18.1-4.19.37).
1. 장로교: 역사와 신학 - ① 장로교 근간 - 칼빈의 신학
1. 장로교: 역사와 신학 - ② 장로교 형성과 발전 - 녹스와 스코틀랜드 장로교
1. 장로교: 역사와 신학 - ③ 개혁주의란 무엇인가: 신학과 신앙의 요체
1. 장로교: 역사와 신학 - ④ 웨스트민스터 신도게요서(신앙고백서)
2. 교단 역사 그리고 정체성 - ⑤ WCC 에큐메니컬 운동 비판
2. 교단 역사 그리고 정체성 - ⑥ 죽산 박형룡의 장로교 신학
3. 개혁주의 장로교 말씀 주해 - ⑧ 오직 성경으로: 개혁주의 성경론
4. 개혁주의 장로교 교리 - ② 오직 그리스도로: 우리의 유일하신 중보자
4. 개혁주의 장로교 교리 - ③ 오직 믿음으로: 단번에 주신 믿음의 성도
5. 개혁주의 장로교 교회정치 - ① 참 교회의 본질과 속성
6. 개혁주의 설교 - ② ‘보는 예배’에서 ‘듣는 예배’로: 칼빈과 설교